4년마다 열리는 아시안컵은 2023년 개최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 팬더믹과 당초 개최국인 중국의 개최 포기로 2024년 1월 12일~2월 10일까지 카타르에서 개최됩니다.
1. 역대 아시안컵 우승국 및 우리나라 역대 성적
기간 | 우승국 | 한국순위 | |
1956년 홍콩 아시안컵 | 09.06~09.15 | 대한민국 | 우승 |
1960년 대한민국 아시안컵 | 10.14~10.21 | 대한민국 | 우승 |
1964년 이스라엘 아시안컵 | 05.26~06.03 | 이스라엘 | 3위 |
1968년 이란 아시안컵 | 05.10~05.19 | 이란 | 본선진출 실패 |
1972년 태국 아시안컵 | 05.07~05.19 | 이란 | 준우승 |
1976년 이란 아시안컵 | 06.03~0612 | 이란 | 본선진출 실패 |
1980년 쿠웨이트 아시안컵 | 09.15~09.30 | 쿠웨이트 | 준우승 |
1984년 싱가포르 아시안컵 | 12.01~12.16 | 사우디 | 본선 조별리그 탈락 |
1988년 카타르 아시안컵 | 12.02~12.18 | 사우디 | 준우승 |
1992년 일본 아시안컵 | 10.29~11.08 | 일본 | 본선진출 실패 |
1996년 UAE 아시안컵 | 12.03~12.20 | 사우디 | 8강 |
2000년 레바논 아시안컵 | 10.12~10.29 | 일본 | 3위 |
2004년 중국 아시안컵 | 07.17~08.07 | 일본 | 8강 |
2007년 4개국 아시안컵 | 07.07~07.29 | 이라크 | 3위 |
2011년 카타르 아시안컵 | 01.08~01.30 | 일본 | 3위 |
2015년 호주 아시안컵 | 01.09~01.31 | 호주 | 준우승 |
2019년 UAE 아시안컵 | 01.05~02.01 | 카타르 | 8강 |
2023년 카타르 아시안컵 | 01.12~02.10 | ? | ? |
그동안 17번의 아시안컵에서 우리나라는 본선에 4개국이 참가했던 1,2회 대회 우승 이후에 우승이 없습니다. 역대 아시안컵에서는 일본이 4회 우승으로 가장 많이 우승한 나라이고 이란, 사우디가 3회 우승으로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코로나 팬더믹으로 23년이 아닌 24년에 열리는 2023년 카타르 아시안컵에 출전하는 대한민국 선수단은 역대 최고의 선수들로 구성된 팀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2. 손흥민 선수 참가 아시안컵 성적
손흥민 선수는 2011년 카타르 아시안컵부터 참여했고 어린 나이였기에 벤치멤버였습니다. 주포였던 박주영선수는 무릎부상으로 뛸 수 없었고 벤치였던 손흥민 선수는 3차전에서 교체로 나와 골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4강에서 일본과 만나 승부차기 끝에 져 탈락했습니다. 2015년 호주 아시안컵은 슈틸리케 감독하에 손흥민 선수가 주전으로 뛰었습니다. 대회 기간 중 이청용, 구자철 선수가 부상으로 낙마해 큰 기대를 할 수 없었지만 슈틸리케의 늪 축구로 결승까지 진출했습니다. 결승에서 현재 토트넘의 감독인 포스테코클루 감독이 이끄는 호주와 만나 선제골을 내줬지만 막판 손흥민 선수의 골로 동점을 만들었지만 연장전에 골을 내주며 패배했습니다. 2019년 아시안컵은 벤투가 감독으로 손흥민 선수는 EPL리그 일정으로 인해 조별리그 3차전부터 합류했습니다. 1차전 필리핀전에서 핵심선수인 기성용 선수가 부상으로 이탈하게 되고 EPL의 빡빡한 일정으로 손흥민 선수의 컨디션이 좋지 못했습니다. 8강 카타르 전에서 설상가상으로 황희찬 선수도 부상으로 나오지 못해 패배하며 8강으로 대회를 마무리했습니다.
3. 아시안컵 우승후보
올해 2023년 카타르 아시안컵은 참가국 중에 가장 화려한 선수단을 보유한 우리나라와 일본이 강력한 우승후보로 뽑히고 있습니다. 일본은 유럽에 진출해 있는 선수들이 우리나라보다 더 많고 우리나라처럼 역대 최고의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2018년, 2022년 월드컵에서 일본은 조직력을 바탕으로 한 축구로 대회 4강 진출국인 벨기에와 크로아티아를 16강에서 탈락직전까지 몰아붙였습니다. 우리나라는 EPL에서 뛰고 있는 손흥민, 황희찬 선수가 이번시즌 12골, 10골로 득점랭킹 3위, 6위로 절정의 득점력을 자랑하고 있고 세계최고의 클럽 중 하나인 바이에른뮌헨의 주전 수비수인 김민재 선수, 파리생제르망에서 미드필더로 활약 중인 차세대 에이스인 이강인 선수가 있습니다. 일본은 현재 우리나라의 손흥민, 김민재 선수처럼의 네임밸류를 가진 선수는 없지만 수비. 미드필더, 공격 라인에서 두루 유럽의 프로팀에서 주전으로 뛰는 선수들이 폭넓게 자리하고 있어 모든 라인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기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김민재 선수 말고는 수비에서 발군의 실력을 가진 선수가 부족해 수비에서 실점을 얼마나 억제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몸값 순위-아시안컵 참가
나이 | 몸값 | |
1. 쿠보 | 22 | 6,000만유로(863억) |
2. 김민재 | 27 | 6,000만유로(863억) |
3. 미토마 | 26 | 5,000만유로(719억) |
4. 손흥민 | 31 | 5,000만유로(719억) |
5. 토미야스 | 25 | 3.000만유로(431억) |
6. 이강인 | 22 | 2,200만유로(316억) |
7. 이토 | 24 | 2,200만유로(316억) |
8. 황희찬 | 27 | 2,200만유로(316억) |
9. 도안 | 25 | 1,800만유로(259억) |
10. 스가와라 | 23 | 1,500만유로(215억) |
위는 아시안컵에 참가하는 선수들의 몸값 TOP10으로 우리나라 선수가 4명, 일본 선수가 6명입니다. 손흥민, 김민재 선수는 현재 최고의 기량을 자랑하고있지만 나이가 어리고 잠재능력이 높은 선수들이 몸값이 대체로 높기 때문에 쿠보나 미토마에 비해 몸값이 현재 기량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위에서 보듯 일본 선수들은 대체로 젊고 유망한 선수들이 많고 우리나라는 현재 최고의 기량을 가진 선수들이 있는데 차기 월드컵을 위해서도 우리나라도 젊고 유망한 선수의 육성이 필요해 보입니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흥민 선수의 EPL 통산성적과 2023~2024시즌 (4) | 2024.05.25 |
---|---|
우리나라 출신 메이저리거들의 통산연봉 (132) | 2024.04.23 |
2024년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할 이정후 선수 (111) | 2023.12.14 |
맨시티 vs 토트넘 경기 전 홀란드 vs 손흥민 (117) | 2023.12.03 |
이강인 선수, 전성기에 접어들고 있는 차세대 에이스 (1) | 202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