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호 선수가 우리나라 야구선수 최초로 1994년에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이후로 많은 선수들이 메이저리그에 진출했습니다.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우리나라 선수들의 통산 메이저리그 연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순위 | 이름 | 활동기간 | 누적 총연봉 |
1 | 추신수 | 2005년 ~ 2020년 | 139,582,678 달러 |
2 | 류현진 | 2013년 ~ 2023년 | 121,382,407 달러 |
3 | 이정후 | 2024년 ~ | 113,000,000 달러 |
4 | 박찬호 | 1994년 ~ 2010년 | 85,456,945 달러 |
5 | 김하성 | 2021년 ~ | 21,000,000 달러 |
6 | 김병현 | 1999년 ~ 2007년 | 20,050,000 달러 |
환율과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지 않은 단순한 누적 총 연봉으로는 추신수선수가 우리나라 역대 메이저리거 중에 1위입니다. 1998년 생으로 우리나라 나이로 27살인 이정후 선수는 올해 샌프란시스코와 6년 1억 1,300만 달러의 계약을 맺으며 메이저리그에 진출했습니다. 6년의 계약이 끝나는 시점에 이정후 선수의 나이가 32살인 점을 감안하면 누적 총 연봉 1위는 이정후 선수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4년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할 이정후 선수
이정후 선수는 12월 13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6년 1억 1천300만 달러에 입단에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4년 뒤 옵트아웃(구단과 선수 합의로 계약 파기)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
jayeon7.tistory.com
메이저리그 전체 역대연봉 순위
순위 | 이름 | 활동기간 | 누적 총연봉 |
1 | 알렉스 로드리게스 | 1994년 ~ 2016년 | 455,159,552 달러 |
2 | 미겔 카브레라 | 2003년 ~ 2023년 | 385,188,684 달러 |
3 | 저스틴 벌렌더 | 2005년 ~ | 350,921,555 달러 |
4 | 알버트 푸홀스 | 1999년 ~ 2022년 | 341.810.741 달러 |
5 | 잭 그레인키 | 2004년 ~ | 303,474,948 달러 |
실제 수령액 기준으로 메이저리그 역대 연봉 1위는 알렉스 로드리게스입니다. 올해 LA 다저스와 10년 7억 달러에 계약한 오타니가 이 계약규모로만 역대 연봉 1위인 알렉스 로드리게스의 연봉을 뛰어넘었습니다. 그러나 이 계약은 2033년까지 10년 간 매년 2백만 달러를 지불하고, 그 뒤 10년 간 2043년까지 매년 6,800만 달러의 연봉을 지불하는 특이한 계약으로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4억 6,000만 달러의 계약입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더라도 명예의 전당 입성이 확실시되는 현역 최고의 타자인 마이크 트라웃의 2019년 ~2030년까지의 12년 4,2650만 달러의 계약보다는 규모나 연평균 연봉을 비교해도 더 큰 규모인 것 맞습니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바페, 케인, 비르츠가 참여하는 유로 2024 (7) | 2024.06.06 |
---|---|
손흥민 선수의 EPL 통산성적과 2023~2024시즌 (4) | 2024.05.25 |
2023년 카타르 아시안컵 일정 및 우승후보 (147) | 2024.01.07 |
2024년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할 이정후 선수 (112) | 2023.12.14 |
맨시티 vs 토트넘 경기 전 홀란드 vs 손흥민 (117) | 202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