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상식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by 자연과더불어 2023. 12. 18.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잇는 차세대 우주망원경으로 현존하는 최대 규모의 망원경이며 허블망원경의 100배의 성능을 가지고 있고 가격은 13조 원이라고 합니다.

 

NASA제공

1. 제임스 웹의 특징

허블 우주망원경은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탐지하여 관측하는데 반해 제임스 웹 망원경은 적외선을 탐지하여 관측해 허블 우주망원경보다 더 멀리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우주가 태어났을 때 별들은 주로 적외선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적외선을 관측해야 더 멀리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적외선을 관측하도록 만들어져 있는 제임스 웹 망원경의 거울은 적외선을 가장 잘 반사하는 금으로 도금되어 있습니다. 도금되어 있는 금 값은 400만 원 정도라고 하는데 거울 크기에 비해 꽤 적은 양의 금이 도금되어 있습니다. 제임스 웹은 18개의 조각 거울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18개의 거울들이 머리카락의 10,000분의 1의 높낮이까지 맞아야 하나의 거울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20여 년의 오랜 기간이 걸렸다고 합니다. 현재 제임스 웹은 "제2 라그랑주 포인트"라는 지점에 위치해 있는데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의 4배라고 합니다. 제임스 웹은 우주망원경연구소와 통신을 주고받으며 우주망원경연구소에서 명령을 입력하면 임무를 수행하고 자료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했다가 일정용량이 되면 우주망원경연구소로 전송한다고 합니다. 

 

출처 매일경제

 

 

2. 제임스 웹의 목적

제임스 웹은 관측가능한 우주의 끝을 관측하기 위해 만들어진 망원경입니다. 예를 들어 30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은하를 본다는 것은 빛이 300만 광년이 걸려 우리에게 관측되기 때문에 우리는 300만 광년 전의 안드로메다은하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점점 멀리 볼수록 더 오래 전의 과거를 보는 것이기에 망원경은 타임머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멀리 볼수록 더 과거의 우주를 보게 됨으로 망원경으로 우주를 멀리 관측할수록 점점 우주의 시작을 관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안드로메다은하 NASA제공

 

 

3. 허블 VS 제임스 웹으로 관측된 창조의 기둥

별들이 탄생하고 있는 "별들의 요람"인 창조의 기둥을 허블 망원경과 제임스 웹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진입니다. 가시광선 영역으로 관측한 허블 망원경은 먼지에 가려진 별들이 잘 보이지 않는데 반해 먼지 등 방해물을 통과하여 탐지가 가능한 적외선으로 관측한 제임스 웹은 먼지에 가려진 별들도 선명하게 관측이 됩니다. 

허블망원경 창조의 기동(왼쪽)  제임스 웹 창조의 기둥(오른쪽) NASA제공

 

 

4. 제임스 웹이 관측한 우주 사진들

SMACS0723은하단(왼쪽)  독거미성운(오른쪽)

 

용골자리성운(왼쪽) 스테판의5중주(오른쪽)
외계행성K2-18b

 

외계행성 K2-18b는 지구에서 120광년 떨어져있고 지구보다 8배 질량이 크고 중력은 지구의 1.18배 온도는 0~40도로 추정되는 행성입니다. 제임스 웹은 외계행성 K2-18b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탄소함유분자를 관측했다고 합니다.